일본어 공부할 때 자주 나오는 단어가 ‘카고이’입니다. 이 단어의 한국어 한자와, 일본 음독, 훈독까지 풀어보고, 누구에게 사용하는 단어인지 알아봅시다.
카고이 뜻
카고이는 사전에 검색을 하면 ‘담’, ‘둘러쌈’ 등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카고이를 문장에 사용하게 되면 ‘은둔생활’, ‘담을 쌓고 지낸다’의 뜻으로 통하게 됩니다.

카고이 | 설명 |
---|
한자 | 籠居 (かごい, 카고이) |
단어 뜻 | 담, 둘러쌈 |
뜻 | ‘집이나 방 안에 틀어박혀 나가지 않고 지냄’ 또는 ‘은둔생활’ |
상세 | 바깥 활동 없이 실내에서만 조용히 지내는 것. 스스로 세상과 단절하는 생활 방식을 뜻함. |
카고이 한자 풀이
일본어 (훈독) | 일본어 음독 | 한국 한자 | 뜻 |
---|---|---|---|
籠 (かご, 카고) | ろう (로우) | 바구니 롱(籠) | 바구니, 가두는 것 |
居 (いる, 이루) | きょ (쿄) | 살 거(居) | 거주하다, 머물다 |
조금 더 풀어보면
- “籠(かご, 카고)” = 새장, 우리 → ‘갇혀 있는 공간’을 의미
- “居(い, 이)” = 머물다, 살다
카고이는 두 단어가 합쳐진 것으로 풀어보면 위와 뜻이 같습니다. ‘새장에 갇혀 살다’, 즉 세상과 단절하고 방구석에만 있는 모습을 가리키는 것이죠.
쉽게 말하면
“사회 활동 끊고, 집 안에 틀어박혀 혼자 지내는 것”
요즘 인터넷 감성으로 말하면 약간 ‘방구석 폐인’, ‘히키코모리’와 비슷한 느낌을 주는 단어입니다. 히키코모리는 은어에 가깝고, 카고이는 고전적인 단어에 가깝습니다. 조금 더 문학적으로 표현을 한다면 카고이가 어울립니다.
히키코모리 vs 카고이 차이점
항목 | 히키코모리 (引きこもり) | 카고이 (籠居, かごい) |
---|---|---|
기본 의미 | 사회적 단절: 방 안에 틀어박혀 사회활동 자체를 거부 | 자발적 은둔: 집에 머물며 조용히 사는 생활 |
주된 원인 | 실패, 트라우마, 불안, 공포로 인한 강제 은둔 | 세상과 일정 거리두기를 원하는 자발적 은둔 |
감정 상태 | 우울, 두려움 기반 | 평온, 고요 기반 |
사회적 시선 | 사회 문제로 인식 (일본에서는 심각한 사회문제) | 옛날 문학·철학적 은둔으로 존중되기도 함 |
현대 적용 | 주로 청소년, 젊은 층 | 노인, 중장년 은둔에도 사용 가능 |
카고이는 누구에게 쓰는 단어인가?
- 전통적으로는 은둔형 생활을 택한 사람 전반에게 쓰지만,
- 특히 자발적으로 세상과 거리를 둔 사람, 조용히 집에서 사는 사람에게 주로 쓴다.
히키코모리처럼 병리적 의미는 덜하고, “삶의 양식” 으로 존중할 수도 있는 개념입니다. 연령층을 분류하지 않고, 실패로 인해서 숨은 비하 개념이 덜하고, 선택해서 조용히 사는 것을 의미합니다.
“카고이” 동음이의어 정리
카고이는 발음은 같지만 뜻이 다른 단어들이 몇 개 있습니다. 즉, 동음이의어로 존재하는 것이죠. 아래는 대표적인 카고이 동음이의어입니다.
단어 | 한자 | 뜻 |
---|---|---|
籠居 (카고이) | 籠(새장) + 居(머물다) | 집에 틀어박혀 사는 은둔생활 |
籠井 (카고이) | 籠(바구니) + 井(우물) | 바구니로 만든 우물 장치 / 고대 일본 농업용 우물 구조 |
籠衣 (카고이) | 籠(덮다) + 衣(옷) | 바람이나 먼지를 막기 위해 입는 천 옷, 일종의 망토 같은 것 |
요약
- 카고이는 은둔생활 하는 사람을 이야기한다.
- 히키코모리와 비슷하지만 세부적인 느낌은 다르다.
- 동음이의어가 매우 많다.
카고이는 멋있다는 뜻 아닌가요?
발음이 정말 비슷하지만 한자 자체가 다르며, 멋있다는 뜻의 일본어는 캇코이입니다.
카고이는 명사인가요?
카고이는 명사지만 한국어처럼 동사로 쓰이는 경우가 있는 단어입니다.
카고이는 자주 쓰나요?
전통적인 단어로 문학에는 가끔 나오지만 히키코모리를 더 많이 사용합니다.
마치며
카고이(かごい, 籠居) 뜻, 동음이의어에 대해서 알아 봤습니다. 교과서 위주로 공부하면 많이 나오는 일본 단어니 한자와 함께 외워두길 바랍니다. 이상으로 글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