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초년생이 사용하기에 좋은 카드는 부담이 되고 관리해야 하는 실적 카드가 아닌 실적 없고, 적립이 잘 되는 카드입니다. 이런 것은 현대카드에서 잘 만듭니다. 현대카드 추천 2025년 버전 3가지를 알아봅시다.

현대카드 추천 2025년 3가지

사회 초년생인 분들은 꼭 신용카드를 발급 받아서 돈을 관리하는 능력을 키우고, 포인트를 쌓아서 생활비를 절약하고, 신용 점수를 올려서 대출을 받을 때 낮은 이자로 받을 수 있게 해야 합니다. 이를 하지 않으면 반드시 후회를 하게 됩니다. 루이즈가 들이는 조언이니 꼭 신경쓰길 바랍니다.

첫 번째. 현대카드 제로 에디션 3

지금의 현대카드가 있도록 만들어준 카드 현대카드 제로 에디션 3입니다. 처음 나왔을 당시에는 이 카드를 제외하고, 매번 결제에 무제한 할인 또는 적립 그리고 실적 제한이 없는 카드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카드를 돌려 사용하며, ‘체리커터’라고 하여 카드 실적 한도를 관리하고,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기록하는 앱도 나왔었습니다.

  • 연회비
    국내 전용 15,000원
    해외 겸용(Visa/AMEX) 15,000원

하지만 현대카드 제로 에디션 1이 나옴과 동시에 번거롭게 실적, 적립 한도를 기록할 필요가 없었죠. 1개의 카드만 사용해도 다른 카드를 여러 개 사용하는 것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적립과 할인이 되었습니다.

1. 디자인

현대카드 제로 에디션 3
출처: 현대카드 제로 에디션 3

현대카드 추천 2025년 첫 번째 현대카드 제로 에디션 3의 디자인부터 살펴볼까요? 이는 카드 업계의 판도를 바꾸게 되었던 걸작입니다. 정식 카드 규격 사이즈에 모던함을 더해주는 화이트 컬러와 광택이 없는 질감, 어디서 봐도 부담 없는 ‘ZERO’ 문구, 카드 개성을 잘 나타내는 최적의 슬로건, 사용자의 귄위를 고려한 메탈 소재 발급까지 모든 면에서 흠 잡을 대가 없는 디자인입니다.

2. 혜택

  • 국내와 가맹점 0.8% 할인
  • 할인 횟수 제한 없음, 이용 한도 제한 없음
현대카드 제로 에디션 3 혜택
출처: 현대카드 제로 에디션 3 혜택

실적과 한도가 없는 무제한 할인 혜택으로 다른 카드에 비해서 심플하고 적은 혜택이지만 결국 마지막에는 현대카드 제로 에디션 3 사용할 수 밖에 없습니다. 주로 사용하는 카드의 혜택 한도를 모두 채웠다면 나머지는 이 카드를 사용하며 0.8% 청구 할인을 받는 것이 현명한 소비입니다.

현대카드의 장점인 애플페이 사용 가능과 쉽고, 많은 금액으로 나오는 장기카드대출, 최대 50만 캐시백을 먼저 받고 추후에 카드를 사용하며 혜택으로 상환하는 우대서비스까지 직장인이면 최소 1개는 가져야할 필수 신용카드입니다.

지금 발급 받으면 ‘온라인 신규회원 연회비 100% 캐시백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쉽게도 루이즈는 네이버 현대카드 에디션 1을 사용하고 있어서 받을 수 없네요.

두 번째. 현대카드 M

현대카드 추천 2025년 두 번째는 ‘현대카드 M’입니다. 이는 온라인 쇼핑을 주로 하는 직장인에게 딱 어울리며, 실적 제한은 있지만 한도가 없어서 주로 사용하는 카드로 적합합니다. 현대카드 제로 에디션 3보다 더 높은 적립률을 가지고 있습니다.

  • 연회비
    국내 전용 30,000원
    해외 겸용(Visa/AMEX) 30,000원

1, 디자인

현대카드 M 디자인
출처: 현대카드 M 디자인

푸른색 배경과 빨간색 이니셜을 사용하여 트랜디한 색감, 어떤 디자인을 선택해도 마음에 드는 디자인, 시그니처 M을 잘 나타내는 이니셜 폰트 그리고 긱시크 감성을 넣어 난해하지만 차별화 된 ‘M Code’ 디자인까지 구성되어 있습니다.

2. 혜택

  • 기본 혜택: 전월 실적 50만 원 이상인 경우 국내외 가맹점 1.5% M 포인트 무제한 적립
  • 추가 혜택: 전월 실적 100만 원 이상인 경우 온라인 쇼핑 가맹점 5% 최대 1만 M 포인트 적립
    대상 가맹점: 네이버쇼핑, 쿠팡, 쥐마켓, 옥션, 11번가, SSG, 컬리 (쿠팡이츠는 안됨), 일반음식점, 해외 가맹점

직장인 기준 고정 지출 비용으로 50만원은 충분히 넘기 때문에 기본 혜택 최소 실적은 쉽게 채울 수 있습니다. 추가 혜택의 경우 매번 채울 필요는 없고, 이사 첫 달, 차량 유지, 점검 하는 달에 채우고 M포인트를 적립하면 어렵지 않게 채울 수 있습니다.

다른 카드에 비해서 온라인 쇼핑에서 사용한 금액을 M포인트로 적립해 주는 것이 매우 좋습니다. M 포인트네이버페이 포인트처럼 정말 넓은 곳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카드와 마찬가지로 ‘온라인 신규회원 연회비 100% 캐시백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세 번째. 현대카드Z 패밀리 에디션 2

현대카드 추천 2025년 세 번째는 ‘현대카드Z 패밀리 에디션 2’입니다. 병원, 약국, 학원, 주유, 생활 요금, 쇼핑을 10%씩 할인해주는 카드로 가족이 있는 직장인. 신혼부부가 사용하기 좋은 신용카드입니다.

  • 연회비
    국내 전용 20,000원
    해외 겸용(Visa/AMEX) 20,000원

1. 디자인

현대카드Z 패밀리 에디션 2 디자인
출처: 현대카드Z 패밀리 에디션 2 디자인

가족을 떠올리면 꿀벌처럼 뭉쳐 있는 것을 떠올려 노란색으로 돋보이는 디자인과 함께, 개성을 나타내는 Z이니셜을 넣고, 어떤 지갑에서 나와도 어색하지 않을 질감과 색상을 지고 있습니다.

2. 혜택

  • 각 청구 업종마다 10% 할인:
    온라인 쇼핑몰
    병원, 약국
    학원
    주유
    생활 요금 (도시 가스, 통신비, 아파트 관리비)
  • 전월 실적 50만 원 이상 각 청구 업종마다 최대 6,000원 할인
    전월 실적 100만 원 이상 각 청구 업종마다 최대 10,000원 할인

전월 실적이 50만 원 이상, 100만 원 이상인데 적립 한다고 1만원으로 많이 실망스럽죠? 이는 가족 카드로 전월 실적 기준이 본인 + 가족 카드의 일시불 및 할부 이용 금액입니다. 즉 가족 4명이서 인당 25만원씩 실적을 쉽게 채울 수 있고, 할인은 5만 원을 받을 수 있어 상당히 좋은 혜택의 카드입니다.

가족과 함께 발급을 받고 ‘온라인 신규회원 연회비 100% 캐시백 이벤트‘도 참가를 하여 연회비 0원 혜택을 받길 바랍니다.

주부가 사용하기에 적당한가요?

현대카드Z 패밀리 에디션 2의 경우는 주부가 주로 사용하는 카드로 쓰기에 많이 좋습니다.

네이버 현대카드인데 바꿔야 할까요?

네이버페이 포인트나 현대카드 M포인트나 사용처가 비슷하기 때문에 굳이 변경할 필요는 없습니다.

세가지 중에 혜택이 가장 좋은 현대카드는 뭔가요?

사람의 소비 습관에 따라서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정도가 다릅니다. 개인적으로 1번이 가장 무난하게 좋습니다.

마치며

여기까지 루이즈가 준비한 현대카드 추천 2025년 3가지 정보입니다. 사회 초년생이거나 신혼 부부가 사용하기 좋으며 실적도 없고, 할인 혜택은 많으니 꼭 카드를 발급 받을 때 참고하길 바랍니다.

다른 글 보러가기

Similar Posts